네팔 67

네팔서 가이드없이 트레킹하다 적발되면 어떤 불이익을 받을까

네팔 관광청이 에베레스트 지역 반대에도 불구하고 4월 1일 부터 트레커 안전과 고용 촉진을 위해 모든 외국인의 가이드 없는 히말라야 트레킹를 금지하는 세부 지침을 3월 31일 발표했습니다. 네팔 언론 카트만두 포스트 보도 내용을 보면 정해진 지역에서 가이드 없이 트레킹을 하다 적발되면 12,000루피의 벌금을 부과하는데요.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약 12만원인데 네팔 최저 임금이 월 14만원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현지 기준으로 제법 큰 금액입니다. 여행사도 처벌을 받습니다. 여행사가 주관한 팀이 가이드없이 트레킹을 하다 적발되면 1인당 10,000루피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또한 트레킹을 하기전 반드시 트레커 정보 관리시스템인 '팀스' (TIMS, Trekkers' Information Management ..

네팔 히말라야 트레킹, 가이드 없이 못한다...4월 1일부터 시행

네팔 히말라야를 트레킹 할 때 외국인은 가이드 없이 트레킹을 할 수 없게 됩니다. 4월 1일부터 네팔 트레킹시 가이드 고용이 의무 사항으로 변경된다고 지난 3일 카트만두 포스트, 온라인 카바르 등 네팔 현지 언론들이 관광청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관광청은 안전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나홀로 트레커를 포함한 모든 외국인들은 국립공원을 트레킹할 때 가이드를 필수로 고용해야 한다고 발표했는데요. 작년 12월과 올 1 월 에베레스트, 안나푸르나 서킷을 가이드없이 트레킹에 나선 한국인 2명이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해발 약 5천미터 고개에서 쓰러져 사망한 50대 여성의 모습이 현지 언론과 SNS 등을 통해 알려지면서 나홀로 트레킹에 대한 안전 문제가 이슈가 되었습니다. 관광청은 ..

네팔 포카라 국제 공항 개항 후 '사랑콧' 패러글라이딩 금지된다

네팔의 관광도시 포카라에 내년 1월 1일 3번째 국제 공항이 문을 열면서 패러글라이딩 명소인 사랑콧을 비롯한 3개 지역서 비행이 금지됩니다. 네팔 언론 레푸블리카의 28일 보도에 따르면 민간항공국(CAAN)은 포카라 국제 공항이 개항하는 내년 1월 1일부터 포카라의 4곳 중 3개 지역(사랑콧Sarangkot, 토리파니Toripani, 타마기Tamagi)에서 이루어졌던 패러글라이딩 비행을 금지키로 했습니다. 패러글라이딩은 사랑콧서 서쪽으로 약 5km 떨어진 만드레헝가에서만 가능한데요. 당국은 또한 패러글라이딩 시간을 하루 4시간(오전 11시~오후 3시)만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민간항공국 당국자는 한 달간 만드레헝가의 패러글라이딩 허용이 항공 운항에 문제가 되면 재고될 수 있다고 덧붙혔습니다. 한편, 새로운..

현지 언론이 추천한 네팔의 저평가된 김밥집은?

히말라야의 나라 네팔에서 한국 음식을 접하는 일은 어렵지 않습니다. 오래전부터 한국인들이 운영하는 식당들이 있었고 한국서 일했던 근로자들, 한류 영향 등으로 한국 맛을 찾는 현지인들이 많이 늘어 K-푸드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11일 네팔 언론 카트만두 포스트가 파탄(랄릿푸르)에 있는 저평가된 맛있는 김밥집 3곳을 소개했는데요. 카트만두 계곡 파탄에는 최근 몇 년간 한식당이 늘어 12곳 이상이 한국 음식을 판매한다고 해요. K-푸드 중 인기있는 김밥을 판매하는 3곳을 매체가 선정해 소개했습니다. 미스터 김밥(Mr Gim Baab) 테이크 아웃만 가능한 '미스터 김밥'은 작은 규모이지만 7년간 젊은 전문직 종사자와 학생들로 부터 사랑을 받아 왔는데요. 신선한 재료를 사용해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

네팔, 죽은 가족의 넋을 위로하는 '가이 자트라' (암소) 축제 열려

12일 네팔 카트만두 계곡 랄릿푸르에서 지난 해 동안 죽은 가족의 넋을 위로하는 '가이 자트라' 축제가 시작되었습니다. 가이는 '암소'를 뜻하고 '자트라'는 축제라는 의미인데요. 이 축제는 카트만두 계곡의 네와르 민족을 중심으로 지난 해에 세상을 떠난 가족을 기리기 위해 거행됩니다. 행렬에 참여하는 어린이들은 종종 암소로 분장하는데, 암소는 힌두교에서 죽은 영혼을 천국에 갈 수 있도록 돕는 신성한 동물로 믿어집니다. 17세기 프라탑 말라 왕의 아들이 어린 나이에 사망하자 왕비는 슬픔에 빠졌고 왕은 슬픔에 잠긴 왕비와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은 유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익살스럽고 유머와 풍자로 꾸민 행사를 조직하도록 했고 축제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네팔의 가이 자트라는 죽은 이를 위한 축제이기도 하지만 소중한 ..

2년간 코로나로 열리지 못한 네팔 에베레스트 마라톤 대회 5월 개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역서 열리는 네팔 에베레스트 마라톤 대회가 오는 5월 개최됩니다. 에베레스트 마라톤 대회는 1953년 5월 29일 텐징 노르게이 셰르파(Tenzing Norgay Sherpa)와 에드먼드 힐러리 경(Sir Edmund Hillary)이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산 정상에 처음으른 것을 기념해 열리고 있으며 코로나 팬데믹으로 2년간 개최되지 못했습니다. 해발 5356m에서 출발하는 에베레스트 마라톤 대회는 세계에서 가장 높고 힘든 경주 중 하나로, 에베레스트산 베이스캠프에서 출발하는 익스트림 울트라(60킬로미터), 풀코스(42킬로미터)와 해발 4410m에 위치한 딩보체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하프마라톤(21킬로미터)등으로 운영되며 모든 코스의 결승점은 해발 3440미터의 남체바자르입니다. 대..

네팔 코로나, 신규 확진자 666명...총 사망자 11,878명

네팔의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11일 현재 지난 24시간 동안 66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는 972,141명이라고 현지 매체 히말라얀 타임즈가 보도했습니다. 네팔 보건인구부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하룻 동안 RT-PCR(유전자 증폭) 검사에서 666명이 양성 반응을 보였습니다. 지난 24시간 동안 총 20,989명에 대해 검사가 진행되었는데요. 그 중 17,447명은 PCR 검사, 3,542명은 신속항원 검사였습니다. 신속 항원 검사에선 지난 46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RT-PCR과 항원 검사를 통한 일일 감염자는 총 1,128명입니다. 14명이 사망해 코로나 총 사망자는 11,878명으로 치명률은 1.3%입니다. 네팔서 코로나로 치료 또는 격리 중인 사례 수는 27,441명으로 증가했습니다..

밀려 드는 중국산 제품 속에 전통을 지키는 네팔 도예가들

네팔 카트만두 계곡 박타푸르의 도예가들이 티하르 축제가 다가 오자 전통 흙 등잔인 '팔라'를 만들기 위해 분주한 모습을 현지 매체 레푸블리카가 24일 전했는데요. 과거 축제 기간 동안 네팔 박타푸르 도예가들의 평균 수입은 5만 루피(약 48만원)가 넘었지만 현재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는 월 2만 루피(약 19만원) 정도입니다. 집집마다 불을 밝히는 티하르 축제에 사용되는 등잔의 가격은 개당 1루피(약 9.76원)에서 5루피(약 48.8원)에 판매됩니다. 중국에서 수입된 현대식 전등이 전통 사업을 위협하고 있지만 네팔 도예가들은 계속해서 흙 등잔을 만드는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국, 네팔에 화이자 백신 무상 제공

미국 정부가 COVAX(코백스·코로나19 국제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와 협력해 네팔에 공급한 화이자 100,620접종분이 25일(현지 시간) 카타르항공을 이용해 카트만두 트리부반 국제공항에 도착했다고 네팔리 타임즈가 보도했습니다. 화이자 백신이 네팔에 도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요. 보건인구부 대변인 크리슈나 파우델은 "11월 14일부터 당뇨병, 암 등 다양한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백신을 접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은 지난 7월 153만 접종분의 얀센 백신을 무상으로 제공했으며 네팔 정부는 이주 노동자, 해외 대학으로 떠나는 유학생,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접종했습니다. 네팔리 타임즈에 따르면 미국, 일본, 부탄 왕국, 인도, 중국 등으로 부터 무상 으로 받은 백신 및 자체 구입분 등..

탈레반, 아프가니스탄 카불 함락 후 美 대사관 근무하던 네팔인 118명 무사 귀환

카트만두 포스트, 네팔리 타임즈 등 네팔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카불의 미국 대사관에서 일하던 네팔인 579명 중 118명이 17일 아침 카트만두 트리부반 국제공항에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민간군사기업에 고용돼 미국 대사관에서 경비 업무를 담당했던 네팔인 118명은 탈레반이 아프카니스탄 카불을 함락한 다음 날 미군의 도움을 받아 쿠웨이트로 대피했고 미정부가 제공한 전세기를 이용해 네팔로 돌아왔습니다. 이어 미국 대사관에 근무했던 다른 네팔인들도 카타르 도하를 거쳐 귀국할 예정이라고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네팔 정부가 아프가니스탄의 미국 대사관 579명, 영국 대사관 87명, 독일 대사관 60명, 일본 대사관 62명, 유엔 기구 등에 약 1,400명의 네팔인들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나 ..